1. 애드센스 하위도메인 정책 변경
아주 깜짝 놀랄 메일을 받았습니다. 애드센스에서 하위도메인(sub domain) 항목을 삭제하겠다는 겁니다.
이게 무슨 말인가? sub domain 즉 하위 도메인을 이제는 애드센스에 추가 할 필요가 없다는 말입니다.
그러면 어쩌란 말인지 헷갈리시죠?
시작 해 보겠습니다.
먼저 메인 도메인을 하는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.
1. 도메인(Domain)을 구입한다. https://www.gabia.com/
2. 티스토리에 도메인을 등록한다. 관리 -> 블로그 -> 개인 도메인 설정
1) 개인 도메인을 입력한다.
2) 저장하면 DNS, 보안 접속 인증서가 업데이트 된다.
보안 접속 인증서는 약 2시간 정도 되면 완료 되니, 그 이후에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하면 된다.
3. 하위 도메인 절차
1) 먼저 가비아에서 하위 도메인 추가
(1) 레코드 추가
2 CNAME으로 변경
3 하위 도메인 이름 입력(sub domain)
4 저장 -(해당 필드만 임시 저장)
5. 전체 저장 - DNS 시스템에 저장
필요한 수 만큼 하위 도메인을 1 - 5번을 반복해서 저장한다.
2) 블로거에서 하위 도메인 적용
아래와 같이 하위 도메인을 입력하고 저장 하면
2 절차와 동일하게 진행된다. 2시간 후에 하위 도메인으로 티스트로에 접근 가능하게 된다.
어 이전에 알던 애드센스에 세부항목에서 sub domain(하위 도메인) 적용은 어디갔나? 네
필요 없습니다. 그래서 편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.
하위 도메인 사용 못한 게 아니라 안해도 되게 만든 겁니다.
하위 도메인 적용 안하게 되면 일일이 모든 사이트를 애드센스에 등록해야하는데, 사용자도 그렇고 구글 입장에서 광고를 해야 할 사이트 수가 급격히 줄게 되니 그렇게 하지 않겠죠.
이해 되지 않는 부분은 댓글 주시면 더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.
'애드센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애드센스 개인 도메인 소유권 확인 TXT 레코드 등록하기 (0) | 2023.04.21 |
---|